OSI 7 Layer (Open System Interconnection 7 Layer)

- 통신 네트워크로 구성된 컴퓨터가 어떻게 Data를 전송할 것인가에 대한 표준 규약 또는 참조 모델

- 국제 표준화 기구인 ISO에서 시스템 간 원활한 정보 교환을 위하여 7개의 계층을 가진 protocol 표준 제안

- 기본적인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의 변경 없이 서로 다른 시스템간에 개방 통신을 위한 것

- 각 계층의 protocol 은 하위 계층 protocol 의 기능을 이용하여 해당 계층을 실행하고 그 결과를 상위 계층에 제공

- 네트워크, 전송계통, 운영체제 상의 이상 발생 시 문제를 분석하고 원인을 찾을 때 모델의 어느 계층이 문제인지를

  좁힐 수 있어 시간과 노력의 낭비를 줄일 수 있음.

  → TCO(Total Cost of Ownership) 줄일 수 있음

 

▪ 1계층 : 물리 계층(Physical Layer)

 - 물리적 연결 구간의 전기적, 기계적 특성과 순서를 정의

 - 물리적(전기, 기계) 신호를 주고받는 계층, 데이터의 종류나 오류를 제어하지 않음

 - 리피터, 더미허브, 전송 회선

 - 프레임을 비트 스트림으로 변환, 케이블

 

▪ 2계층 : 데이터링크 계층(DataLink Layer)

 - 데이터의 형식 결정

 - 매체 접근 방법의 제어

 - 물리 계층을 통해 노드 간 송수신되는 정보의 오류와 흐름을 관리하여 정보 전달의 안전성을 높이는 계층

 - MAC 주소를 통해 통신하며 프레임 단위로 데이터를 전송

 - 스위치, 브리지

 - 프레임 : 헤더(MAC 주소) + 패킷 + CRC(오류 검출)

 

▪ 3계층 : 네트워크 계층(Network Layer)

 - 데이터 전달

 - 호스트 간 경로 선택과 연결성 제공

 - 논리적 주소를 이용한 패킷의 라우팅

 - 데이터 전달을 위한 최적 경로 선택

 - 주소를 정하고 경로를 선택하여 패킷(네트워크 계층의 기본 전송 단위)을 전달 해주는 계층

 - IP 부여를 통해 데이터를 목적지까지 가장 안전하고 빠르게 전달하는 라우팅 기능이 핵심

 - 라우터, L3 스위치

 - 패킷 : 헤더(출발지와 목적지 IP 주소) + 세그먼트 

 

▪ 4계층 : 전송 계층(Transport Layer)

 - 양단의 연결

 - 양 호스트 간의 전송 제어

 - 데이터 전송의 신뢰성 확보

 - 에러 제어와 흐름 제어

 - 상위 계층에 전송 서비스 제공

 - TCP, UDP 프로토콜 사용

 - 네트워크 상의 단발기 간 신뢰성 있는 데이터 송수신을 제공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계층

 - 오류 검출과 복구, 흐름 제어, 중복 및 누락 검사, 다중화 등을 수행하며 세그먼트 단위로 데이터를 전송

 - 종단 간 통신을 다루는 최하위 계층으로 송수신 프로세스를 서로 연결

 - L4 스위치

 - 세그먼트 : 상위 계층으로 부터 전달받은 원본을 일정 크기로 분할(규격화) + 일련번호

 

▪ 5계층 : 세션 계층(Session Layer)

 - 호스트 간의 통신

 - 데이터 통신을 위한 양 끝단의 응용 프로세스가 통신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는 계층

 

▪ 6계층 : 표현 계층(Presentation Layer)

 - 데이터의 표현

 - 응용 프로세스 간 데이터 표현상의 차이에 상관없이 통신이 가능하도록 독립성을 제공하는 계층

 - 데이터의 코드 변화, 데이터 압축, 암호화 등의 수행을 통해 응용 계층의 부담을 덜어줌

 

▪ 7계층 : 응용 계층(Application Layer)

 - 7계층 중 유일하게 사람이 직접 다루는 계층 (유저 인터페이스)

 - 통신 응용프로그램, 사용자 인증

 - 네트워크 가상 터미널이 존재하여 서로 상이한 프로토콜에 의해 발생하는 호환성 문제를 해결하는 계층

 - 데이터 통신의 최종 목적지로 HTTP, FTP, SMTP, POP3, IMAP, Telnet, SSH 등과 같은 프로토콜을 적용하는

   응용 프로그램을 통해 사용자에게 서비스 제공

 

TCP/IP 4 Layer

▪ 1계층 :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계층(Network Interface or Network Access Layer)

 - OSI 7 계층에서 1(물리), 2(데이터링크) 계층에 해당

 - 물리적인 주소로 MAC 주소를 사용한다.

 - LAN, 패킷망 등에 사용

 

▪ 2계층 : 인터넷 계층(Internet Layer)

- OSI 7 계층에서 3(네트워크) 계층에 해당

- 통신 노드 간의 IP 패킷을 전송하는 기능과 라우팅 기능을 담당

- 프로토콜 : IP, ICMP, ARP, RARP

 

▪ 3계층 : 전송 계층(Transport Layer)

- OSI 7 계층에서 4(전송) 계층에 해당

- 통신 노드 간의 연결을 제어하고, 신뢰성 있는 데이터 전송을 담당

- 프로토콜 : TCP, UDP

 

▪ 4계층 : 응용 계층(Application Layer)

- OSI 7 계층에서 5(세션), 6(표현), 7(응용) 계층에 해당

- TCP/UDP 기반의 응용 프로그램을 구현할 때 사용

- 프로토콜 : FTP, HTTP, SSH

 

'Network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Ethernet Ⅱ 프레임 구조  (0) 2024.08.28
OSPF 실습  (0) 2024.08.25
실습 EIGRP / DHCP / DNS /  (0) 2024.07.31

+ Recent posts