✔  동적 라우팅?

- 라우터들이 라우팅 프로토콜에 의해 정의된 규칙에 따라 라우팅 정보를 교환하고, 최적의 경로를 선택하는 동적 라우팅 방식

- 동적 라우팅에는 Distance Vector 와 Link State 의 두 가지 방식이 있다

- 최적 경로(Best Path)를 선택하는 기준이 다르기 때문에 서로 다른 라우팅 프로토콜 끼리는 정보를 교환 할 수 없다.

- 경로가 여러 개 라면 그 중 최적 경로만 라우팅 테이블에 등록, 나머지 경로들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 후, 최적 경로에 오류가 발생하면 다음 최적 경로가 라우팅 테이블에 등록

- 경로 선택 기준을 metric 이라고 한다

- 라우팅 프로토콜 종류 : RIP, EIGRP, OSPF

- 만약 동일 목적지까지 서로 다른 라우팅 프로토콜을 가진 경로가 여러 개 있다면 AD 값이 가장 작은 것을 선택

- AD(Administrative Distance) : 라우터가 인접 라우터로부터 수신 받은 라우팅 정보의 신뢰성을 평가한 것

AD 값

 

 장점

- 사람이 직접 경로를 입력할 필요 없음

- 다운되어 버린 링크나 새로 발견된 네트워크를 라우터 간 알려줄 수 있다

- 라우터들을 네트워크 토폴로지를 학습해서 최적의 라우팅 경로를 선택할 수 있다

- 라우팅 프로토콜에 대한 기본 설절을 하고 나면, 더 이상 관리자의 추가적인 작업이 없어도 경로 유지 가능하다
(단, 추가 네트워크가 생기면 추가 작업 해야함)

 

 단점

- 많은 양의 리소스와 시스템 할당을 요구할 수도 있다

- 업데이트를 주고 받기 위해서 대역폭을 소비해야 하며,
많은 양의 라우팅 업데이트 정보는 링크의 성능을 저하시킬 수 있다

 

  부하분산(Load Balancing)

- 라우터는 라우팅 테이블에 가장 좋은 경로 하나만 등록한다

- 이 때 비교하는 값을 metric 이다

- metric이 낮을수록 좋은 경로

- 만약 동일한 metric을 가진 경로가 여러 개 있다면 같이 라우팅 테이블에 올라간다
두 개의 경로가 동시에 라우팅 테이블에 올라가면 번갈아가며 경로를 사용하게 된다
이것을 부하분산(Load Balancing) 이라 한다

- 부하분산의 장점은 대역폭이 늘어나고, 백업 경로를 확보할 수 있으며, 가용성을 확보할 수 있다 

'Network > Router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GRE Tunneling & IPSec VPN  (0) 2024.10.16
FHRP | HSRP, VRRP, GLBP  (0) 2024.10.14
NAT  (0) 2024.09.12
Access List  (0) 2024.08.20
Passive Interface & 수동 축약  (0) 2024.07.15

+ Recent posts